우울증(depressive disorder) 우울장애 정의 및 증상, 극복 방법, 예방, 치료, 정신 건강 회복
얼마 전에 벌어진 생각하기도 싫은 이태원 대참사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분노와 슬픔에 빠지고 자신도 모르게 우울증을 겪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보도되고 있습니다.
저도 그 참사 소식을 듣고 정말 어이없고 얼마나 분통이 터지는지... 어떻게 이 땅에서 후진국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런 참사가 일어나는지... 세월호 사고의 아픈 기억도 다 지워지지 않았는데... 정말 이해가 안 되고 자려고 누우면 자꾸 생각이 나고... 우리 아이들을 위해 이 나라를 떠나야 하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정말 한심한 노릇입니다.
슬픔을 당하신 유가족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도 우울증세가 서서히 나타나는 것 같아 '우울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얼마 전에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 소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 글이 있어 간략히 정리하여 소개드립니다.
‘우울증’
정의: 생각의 내용, 사고 과정,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 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우울한 상태
- 일시적으로 기분이 저하되는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며 즐거운 일이 있을 때 즐겁고, 슬픈 일이 있을 때 슬퍼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것임
- 우울증 환자 수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성이 남성 환자 수의 약 2배에 가까울 만큼 여성에게 많이 발생함
20세부터 79세까지 환자 수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
(여성이 남성의 2배라니... 정말 놀랍고 우리 사회의 상황이 심각해 보입니다.)
[우울증의 원인]
우울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① 생화학적 요인
뇌 안에 있는 신경전달물질(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GABA 등)과 호르몬(갑상선, 성장 호르몬,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 이상, 생체 리듬의 변화와 관련
② 유전적 요인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주요 우울증을 앓고 있으면 다른 한 명도 우울증이 걸릴 확률이 50% 정도 됨
주요 우울증 발병에 유전적 요소가 작용하며, 유전적 요소로 설명되지 않는 요인도 우울증 발병에 영향
③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는 우울증 증상 발현에 영향을 주며,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 경제적 문제, 강한 스트레스 등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이 우울증 유발의 요인으로 작용
[우울증의 증상]
치료가 필요한 병적 우울증의 특징
① 우울 증상이 2주 이상 오래간다.
일시적인 우울 상태라면 대개 며칠 안에 괜찮아짐
하지만 이런 상태가 2주 이상 장기화된다면 치료가 필요
② 식욕과 수면 문제가 심각하다.
입맛이 없어서 전혀 식사를 못 하거나 잠을 거의 못 잘 정도로 식욕과 수면 문제가 심하다는 것은 약물 치료가 필요한 상태
③ 주관적 고통이 심하다.
우울증 환자들은 스스로 우울증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견디기가 매우 힘들다고 느낌
이러한 상태가 낫지 않고 계속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예상이 들면 자살 기도를 하기도 함
이럴 때는 더 이상 혼자 힘으로 회복하려고 하지 말고, 정신과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함
④ 사회적, 직업적 역할 수행에 심각한 지장이 있다.
우울증 상태에서는 여러 가지 일이 잘 안 될까 봐 많이 걱정하지만 그 일을 해결하기 위한 실행 능력은 매우 떨어짐
가정주부가 살림을 전혀 못 하거나, 학생이 공부를 할 수 없을 정도면 치료가 필요한 상태
⑤ 환각과 망상이 동반되는 경우
우울증 중에는 정신병적 증상인 환각이나 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음
이런 경우 자타해 위험성이 높으므로, 우울 증상의 심각도와 상관없이 치료를 받아야 함
⑥ 자살 생각이 지속되는 경우
[우울증 진단법]
주요 우울증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면담하여 병력을 청취하고 환자의 상태가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진단
- 심리 검사를 통해 다른 정신 질환의 공존 여부, 지능 등 필요한 정보를 보충
- 다른 신체 질환에 의한 이차적 우울증을 감별하기 위해 혈액학적 검사 및 뇌영상 검사 등 시행
[주요 우울증의 진단 기준(DSM-Ⅴ)]
위의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우울증이 의심되므로, 정신과 의사와 상의해야함
[우울증 치료법]
크게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가 있음
① 약물 치료
항우울제 투여 2~3주 후에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며, 대개 4~6주 정도 지나면 충분한 효과가 나타남
- 약물을 충분한 용량으로 충분한 기간 동안 사용한다면 전체 환자의 2/3에서 효과가 나타남
- 약물 치료로 우울증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6개월 정도는 약물 치료를 계속해야 재발을 예방할 수 있음
- 약물을 장기간 사용해도 신체에 특별한 위험성과 중독성은 거의 없음
② 정신 치료(심리 요법)
우울증을 유발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현재의 증상을 조절하는 치료 방법
- 우울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개입하는 효과
- 정신 치료를 효과적으로 받으면 우울증이 치료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정신 건강도 향상되어 치료 전보다 만족스러운 삶을 살게 되기도 함
③ 전기 경련 요법(Electroconvulsive therapy)
우울증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다른 치료에 비해 효과가 아주 빨라서 수일 내지 1~2주면 치료 효과 기대
-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도 적음
- 자살 위험성이 높은 경우, 신체 쇠약이 심해서 빠른 치료가 필요한 경우, 항우울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사용
④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법(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rTMS)
경두개 자기자극으로 뇌가 자극되면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흥분성 또는 억제성 효과
- 경두개 자기자극의 기술적 원리는 코일에 짧고 강한 전류를 흘려 급격히 변화하는 자기장을 유발하고, 이 자기장이 다시 전기장을 유발해 사람의 두피 위를 자극할 때 대뇌의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는 것
- 다양한 정신-신경계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용 목적으로 사용
우울증은 개인의 잘못이 아닌 ‘마음의 병’이라고 합니다. 증상이 있고, 자가 진단 결과가 우울증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온다면 여느 병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제 자신부터 진단하고 적용해 보아야겠네요.
다시는 이 땅에서 이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도 개선, 안전 인식 제고 등 다양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다시 한번 아픔을 당하신 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건강과 과학(Health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넥스트젠(Project NextGen)" : 끝나지 않은 바이러스와의 전쟁,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코로나 19 (SARS-CoV-2) 대응 전략 (3) | 2023.08.01 |
---|---|
'에피데믹'과 '팬데믹', '엔데믹' 차이는 뭘까? 코로나19의 방향은? 코로나19 팬데믹은 끝났는가? (2) | 2023.07.27 |
건강한 피부, 손톱, 머리카락을 위한 영양 식단 - 케라틴(keratin), 바이오틴(biotin) 영양소 (72) | 2022.09.06 |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습관 - 건강한 다이어트 식단 (47) | 2022.09.05 |
칼륨이 풍부한 음식, 과일, 채소 - 칼륨의 역할: 전해질, 신호 전달체 (12)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