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

하루 물 8잔의 효과, 수분 섭취, 전해질 균형, 신장 결석 예방, 건강한 세포 유지 우리는 보통 하루에 얼마의 물을 마실까요? 계절과 온도, 일하는 장소, 일의 종류, 운동 등 활동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우리몸은 에너지를 만들고 근육을 만드는 등 정상적인 생리작용을 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합니다. 전문가들은 우리 몸이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 8잔의 물을 마셔야 한다고 합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 더 필요하기도 하고 덜 필요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적정 온도가 유지되는 사무실과 같은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근무 중에 물 마시는 것 조차 잊어버릴 때가 많습니다. 땀이 배출되지 않으니 딱히 갈증을 느끼지 못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직접 물을 마시기도 하고 음식을 통해 수분을 섭취하는데 우리 몸이 느끼는 갈증과 관계없이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의 수.. 2022. 8. 30.
[북 리뷰] 역사의 역사 (History of Writing History), 유시민, 역사의 기록 이야기, 역사 서설 역사의 역사(History of Writing History) 저자: 유시민 출판: 돌베개, 2018.6.25. 페이지수: 340 [한 줄 요약] "역사의 기록은 인류사에 있어 중요하고 장엄한 과정이다." [리뷰] 유시민 작가의 '역사의 역사(History of Writing History)'는 역사 자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역사를 기록하는 작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정치가, 달변가, 싸움꾼 등등 다양한 평판을 가지고 있는 유시민 작가의 기발하고 재미있는 발상의 책입니다. 각 역사가들에 대한 함축된 서술로 구성된 각 장의 제목 또한 흥미운데요. "서구역사의 창시자 헤르도토스와 투키디데스, 사마천이 그린 인간과 권력과 시대의 풍경화, 이븐 할둔 최초의 인류사를 쓰다, 있었던 그대로의 역사 랑케, 역.. 2022. 8. 30.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NIAID, 파우치 소장, 감염병, 코로나19, 백신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AID)는 미국 보건복지부(HHS)의 산하 기관인 미국 국립보건원(NIH)을 구성하는 27개 기관 및 센터 중 하나로 3실, 1센터, 6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간 예산은 ’21년 60억 7천만불에서 ‘22년 62억 5천만불로 1.8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22년 예산을 한화로 계산하면 8조 4250억원정도 되네요. 우리나라의 감염병 연구를 이끌어 가는 국립보건연구원(KNIH)의 한해 예산이 1천6백40억원정도니까 NIAID는 실로 엄청난 예산을 사용하고 있네요. 역시 규모의 면에서는 게임이 되지 않네요. 각 부서의 주요업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 Division of .. 2022. 8. 30.
층간 소음 영어로 floor noise? neighbor's noise? apartment noise? 층간소음 문제는 정부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결하기 힘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지난 번에 층간 소음으로 인한 사건 사고와 정부의 해결 방안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는데 해외에도 층간 소음 문제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층간소음 갈등 사건 해결방안과 정부 개선방안" 당연히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생활 소음이 안 생길 수 없고 많은 문제와 갈등이 생길거라고 생각합니다. 국외도 예외는 아니겠죠. 층간 소음은 영어로 어떻게 표현될까요? 층간 소음을 글자 그대로 영어로 표현하면 'floor noise'가 될 수 있는데 이것은 조금 부자연 스러운 표현입니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층간 소음은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즉 뛰거나 걷거나 악기를 연주하거나 텔레비젼 등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2022. 8. 30.
소셜 미디어 중독 논쟁, SNS, 소셜 미디어 중단 장점 part 1 소셜 미디어를 그만둘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들 우리는 소셜 미디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인터넷, 이메일, 유투브, 카카오톡, 페이스북.... SNS(Social Network Service)... 대부분의 어른이나 아이들은 유튜브를 보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고 말할 정도입니다. 우리는 소셜 미디어 즉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며 살아갑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필수불가결한 일이 되었습니다. 소셜 미디어는 꽤 중독적인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엄청난 재미를 주지만 반면에 때로는 엄청난 시간을 낭비하게 만듭니다. 소셜 미디어는 때로는 재밌기도 하고 때로는 오히려 성격을 난폭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덜 외롭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때로는고립감과 부족함을 느끼.. 2022. 8. 29.
반응형